"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는 9살 딸과 5살 아들둔 40대 가장입니다. 저는 어렷을때부터 성인이 되서까지 경제적사고 방식이 없었습니다. 재테크라는 단어에 눈이 뜨기 시작한건 사실 10년전부터라 20대까지는 놀고먹는 배짱이 수준이였죠.
근데..이러한 행동에는 당연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교육을 제대로 받은적이 없습니다.
네. 저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본주의사회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에 대한 교육이 정말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국영수 위주로 집중된 수능 맞춤형 교육뿐 우리아이들에게 꼭 필요하다고 느끼는 경제관련 교육은 아직 미흡한게 현실이죠.
지금에서야 느끼지만 그당시에는 왜 굳이 무엇을 위해 열심히 공부를 했는지에 대해 스스로 뒤돌아 생각해보면, 결국 좋은 대학 , 좋은 직장을 다니기 위한 선택지 없는 목표를 위해 공부를 했다는것이죠.
물론 공부에 대한 목표가 뚜렷한 아이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별한 목표없이 당연히 좋은 대학과 좋은 직장을 위해 의무적인 국영수 위주의 교육에 집중할수 밖에 없다는 것이죠.
사실 제 주변에도 대기업이나 고위직 공무원이 되신 선후배들이 있습니다. 이분들을 가끔만나 경제적인 이야기를하게 되면 의외로 경제적 사고가 부족한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어렸을때부터 경제교육은 꼭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에게 경제 공부의 중요성를 가르쳐야합니다.
첫번째. 돈의 개념과 가치를 이해시켜야합니다. 아이들은 돈을 어떻게 얻게 되는지 , 또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배워야합니다. 저는 아이들에게 용돈을 줄때 정확하게 월급처럼 날짜에 맞게 지급하고 용돈기입장을 쓰도록 합니다. 만약 용돈을 계획없이 사용하여 모자를 경우도 절대 추가로 용돈을 주지 않습니다. 아이에게 스스로가 돈에 대한 책임의식을 심어주고 돈에 대한 소중함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죠.
두번째. 저축에 중요성을 알려줘야 합니다. 저축은 경제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작은 돈일지라도 모아가는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게 해줘야합니다. 저축을 가르침으로써 아이에게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게 하고 더나아가 저축을 배운 아이들은 미래에 재정적으로 독립하고 책임감을 가질 가능성이 커집니다.
세번째. 소비와 선택의 중요성을 알려줘야 합니다. 아이들은 물건을 구매할때 가격을 고려하지 않고 구매합니다. 제품의 가격과 가치를 비교하게하고 올바른 선택을 할수 있도록 도와줘야합니다.
네번째. 기부와 사회적 책임감을 키워줘야합니다. 돈을 단순히 소비하는 습관으로 생각하지 않고 , 누군가와 나누고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할수있는 방법을 알려줘야합니다. 기부를 통해 어려운사람을 도왔을때 진정한 돈에 대한 가치를 느끼고 사회적 책임감을 가질수 있습니다.
다섯번째. 우리나라 경제시스템에 대해 가르쳐야합니다. 우리는 자본주의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다양한 직업들이 사회 , 경제에 기여하는지 가르치고 돈이 흐름과 경제활동에 중요성을 가르침으로써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때 재정적 독립성과 책임을 가질수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아이들이 경제적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돈에 대한 가치를 이해시켜주고 경제활동을 수월히 할수 있도록 도와주는게 우리의 역할인듯 싶습니다.
앞으로 우리 자녀뿐 아니라 많은 아이들에게도 진정성있는 경제교육이 활성화되길 소망합니다.
'일상적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인가족 식비 100만원인데 부족하다는 아내 (0) | 2025.03.01 |
---|